쓰레기, 환경,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모두의 커뮤니티. 누구나 글과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꼬마전구
분류
질문
작성자
냥이 로이집사
작성일
2022-04-14 17:59
애들이 초등학교 때 실험인가 실습인가 한다고 쓰던 꼬마전구는 어떻게 버리지요?
전체 1
BLISGO
2022-04-15 17:32
전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이기 때문에 불연성 쓰레기 봉투(마대)로 버려야 합니다.
다만 말씀하신 전구가 백열전구인지 LED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LED인 경우 일반쓰레기(종량제봉투)로 버려주세요.
백열전구는 전구 내부에 얇은 철사처럼 보이는 필라멘트가 있고, 주황색과 같이 따뜻한 느낌의 빛을 냅니다.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보내서 빛과 열을 함께 방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밝기에 비해 전기 소모량이 많고, 사용시간도 짧습니다. 효율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2014년부터 생산이 중단되었고, 시중에서 찾아보기 어려워졌습니다.
LED는 모양과 색이 다양하고 수명도 매우 길기 때문에 백열등과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빛이 매우 밝고 선명하며, 켜지는 속도가 백열전구처럼 빠르면 LED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엔 인테리어를 위해 필라멘트까지 똑같이 구현한 백열전구 모양의 LED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전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이기 때문에 불연성 쓰레기 봉투(마대)로 버려야 합니다.
다만 말씀하신 전구가 백열전구인지 LED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LED인 경우 일반쓰레기(종량제봉투)로 버려주세요.
백열전구는 전구 내부에 얇은 철사처럼 보이는 필라멘트가 있고, 주황색과 같이 따뜻한 느낌의 빛을 냅니다.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보내서 빛과 열을 함께 방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밝기에 비해 전기 소모량이 많고, 사용시간도 짧습니다. 효율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2014년부터 생산이 중단되었고, 시중에서 찾아보기 어려워졌습니다.
LED는 모양과 색이 다양하고 수명도 매우 길기 때문에 백열등과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빛이 매우 밝고 선명하며, 켜지는 속도가 백열전구처럼 빠르면 LED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엔 인테리어를 위해 필라멘트까지 똑같이 구현한 백열전구 모양의 LED도 있으니 참고하세요.